[문화전달자 : MEME]
Title : 문화전달자:MEME _ 춘천복합문화센터 현상설계 우수상Program : Cultural, PublicLocation : Chuncheon, KoreaYear : 2022
Read more "[문화전달자 : MEME]"Title : 문화전달자:MEME _ 춘천복합문화센터 현상설계 우수상Program : Cultural, PublicLocation : Chuncheon, KoreaYear : 2022
Read more "[문화전달자 : MEME]"Title : 작은 도시마을 井 _ 금촌 민·군 복합커뮤니티센터 현상설계 최우수상Program : Cultural , PublicLocation : Paju, KoreaYear : 2021
Read more "[작은 도시마을 井] 금촌 민·군 복합커뮤니티센터"Title : CAMPUS in campus_서울대 문화관 리모델링 현상설계 4등Program : Cultural ,Education, PublicLocation : Seoul, KoreaYear : 2021
Read more "[CAMPUS in campus] 서울대 문화관 리모델링"창원시 민주주의전당 건립사업 설계공모_3위 Title : [ 일상의 현현 顯現 ] _ 창원민주주의전당Program : Cultural, Exhibition, PublicLocation : Changwon, KoreaYear : 2021 현현(顯現, Epiphany) 은, 평범하고 일상적인 대상 속에서 갑자기 경험하는 영원한 것에 대한 감각 혹은 통찰을 뜻하는 말이다. ‘epiphany’는 그리스어로 ‘귀한 것이 나타난다’는 뜻이며, 기독교에서는 신의 존재가 현세에 드러난다는 의미로 사용되어 왔다. 우리가 지금 […]
Read more "[일상의 현현 顯現] 창원민주주의전당"반디 행복누리 플랫폼 조성사업 제안공모_2위 Title : 반디 나무 플랫폼 · Bandi NAMU PlatformProgram : Cultural, Healthcare, PublicLocation : Muju, KoreaYear : 2020
Read more "반디 나무 플랫폼 · Bandi NAMU Platform"자연과 자연사이에 건축이 , 건축과 건축사이에 자연이 깃들여 있다. 깊은 공간에서 보여지는 외부 파노라마 전경으로 전시 공간 사이사이의 홀과 연결브릿지 는 dasein 이 만들어낸 자연을 만나는 또 다른 전시가 되다.
Read more "Da Sein"” 자연에 깃든 건축지형이 주는 그곳만의 존재감” 자연지형에 새로이 들어설 건축이 만드러낼 풍경은 산세와 지형의 고저차에 따라 ,언덕에 놓이고 때로는 삽입되고 이것은 길을 따라 변화하는 파노라바 뷰를 만든다. DaSein 은 기존자연이 주건 고요한 감성을 유지한다. 낮고 간결한 건축물 사이에 대비되는 자연은 긴장과 이완의 감정을 이끌어내며, 중첩된 시간의 켜로 시공간을 초월한다. 글, 전성은
Read more "Da Sein 두번째 이야기"“오랜 침묵의 땅에 들어서다. 너른 산이었다. 어느시기에인가 특별한 사용용됴를 위해 평편하게 깍겨졌었다 하나 그사이 다시 수풀과 숲으로 덮여있었다. 그곳은 그들만이 오랜동안 누려왔을 법한 고요의 땅이었다. 오랜 자연상태의 곳에 거대한 건축물이 들어선다는 것은 고요한 침묵의 공간에 소리를 내는 것이다. 즉, ‘그곳의 존재’를 알리는 일이다. ” 글, 전성은 #서울시문화자원센터_통합수장고#chuarchitects#compitition_work#전아키텍츠#건축가전성은
Read more "Da Sein 첫번째 이야기"인천광역시 남동구 세대통합형 복합시설 건립사업 설계공모_3위 Title : 연결의 매개체_매스포레 MASS_FORÊTProgram : Cultural, Healthcare, PublicLocation : Incheon, KoreaYear : 2020 본 대상지는 서울에서 가까운 인천시 남동구 서창동 베드타운의 중심의 공원에 위치함으로써 공동주거도시와 자연과의 관계의 연속성을 이어주는 공원형 도시복합시설로써 최적의 장소이다.본 제안은 연결의 매개체로서 ‘공원형 입체복합시설’ 방점을 두었다.공원을 최대로 활용하고 건축 경계의 변용으로 각층에서 외부공간을 접할 […]
Read more "연결의 매개체_매스포레 MASS FORÊT"“ 역사의 현재성 ” “인식의 가능성” “기억의 환유” “ 감각의 단면 ” 오늘 만난 옛 기억은 그때의 그 기억이 아니다.지금, 여기, 현재의 감각으로 각색된다.기억은 그렇게 새로이 써진다. 이 기억의 변형은 상상력의 힘이며그것은 구체적 재현의 아닌 파편으로, 몽타주로, 알레고리로, 무한히 구축된다. 이 시간이 개인의 사유가 역사와 관계하는 순간이며그렇게 역사는 현존하게 된다. 파편화된 역사적 흔적, 형세 상상력, […]
Read more "전통건축부재보존센터 전시 및 공간 기본계획 제안"21세기 모빌리티는 ‘이동’이 아니라 ‘접속’이다. 디지털과 인터넷의 발달로 거리감의 한계가 사라졌다. 우리가 만나는 개념적 공간은 무한 확장되어가고 있다. 공간의 확대란 각각의 거리가 떨어져있으면서도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의 공간은 여전히 ‘이 곳’이다. 개인의 공간은 더 작아지고, 타블렛 속으로 들어갔으며 자신을 규정하는 ‘자아와 공간’이 일치해가는 세상이다. 21세기 모빌리티는 떨어져 있는 동시에 연결되어 있는 ‘관계의 궤적’이다. 바로 […]
Read more "Contacted Trajectory"Title : 2018 정부세종신청사 국제설계공모 1단계Program : Office, PublicLocation : Sejong, Korea 자연이 되는 건축 세종청사가 안고 싶어 하던 저 멀리 장남평야의 풍광을 가슴으로 끌어들이다. 원경에서 근경으로.. INTRO. 도시는 인간의 자연의 점유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수천 년에 걸쳐 인간은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자연을 잠식해 왔습니다. 현대 도시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는 도시가 자연과 어떠한 관계 맺기를 할 것인가 […]
Read more "近 庭 景, 庭 近 京"Title : 김창열 제주도립미술관 현상설계Program : Cultural, MuseumLocation : Jeju, Korea ‘대지의 천연조건을 최대한 활용해 자연에 흡수시키다’대지내 고저차가 있는 곳에 보이지 않는 벽을 이용한 주동배치로 거대볼륨인 미술관을 숲에 흡수시키다. ‘자연을 담는 거대 벽이 숲을, 하늘을, 땅을, 그리고 계절의 변화를 자신의 몸으로 그리다’정면성을 갖는 남측과 북측의 미술관 벽은 거울효과로 주변의 자연과 풍광을 담아 숲속에 그 거대한 […]
Read more "김창열미술관"Title : Embryonic Space_ 6-4 생활권 복합커뮤니티단지 현상설계중 유치원 제안Program : Education, PublicLocation : Sejong, KoreaSite area : 4,806m²Total floor area : 2,666.53m² 배아(胚芽 Embryo)의 공간 : Embryonic Space 배아는 접합체가 발생을 시작하여 환전한 개체를 형성하기 전까지의 초기단계이다. 이처럼 유치원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교육의 배아의 시기이다. 여기서 착안, 건축콘셉은 ‘우주안에 소우주’, ‘공간안에 공간’의 개념으로 매치 […]
Read more "Embryonic Space"Title : 창신길 공용주차장 및 청소년 복합시설Program : Mixed use(Public Parking, Cultural)Location : Changsin-gil, Jongno-gu, Seoul, Korea ‘기존 자연지형과 한옥의 위치를 존중’한 배치자연에 합일하는 ‘한옥배치개념의 현대화’지형의 흐름과 새롭게 형성되는 ‘건축물의 유기적 연계’‘현재성의 건축적 개입’으로 ‘한옥의 새로운 인식화’ 현재성으로 재해석한 한옥의 단면이 역사로써 건축에 그려지다.
Read more "창신길 복합시설"Title : Seoul Craft[ed] MuseumProgram : CulturalLocation : Seoul, Korea Prologue Masters had created crafts… Stored and preserved until today, they are not just old valuables but very special objects with unique individual history of artisan spirit. Our proposal invites public to experience these historic artifacts within a well-crafted settings: the Seoul Craft[ED] Museum. It […]
Read more "Seoul Craft[ed] Museum"Title : 기억의 미래 _ 세종문화정원 조치원 정수장Program : CulturalLocation : Sejong, KoreaSite area : 10,656m² Total floor area : 583.39m² Year : 2017 Synopsis 오늘 만난 옛기억은 그때의 그 기억이 아니다. 지금, 여기, 현재의 감각으로 각색된다.기억은 매번 새로이 써진다. 이 기억의 변형은 상상력의 힘이며 그것은 구체적 재현이 아닌 파편으로, 몽타주로, 알레고리로, 그렇게 무한히 구축된다. […]
Read more "기억의 미래_세종문화정원"Title : Evolving Ecoscape_순천예술마당 Program : Cultural Location : Suncheon-si, Jeollanam-do, Korea Year : 2016 Cities evolve positively and negatively. Like many other cities in Korea, the city of Suncheon has lost its urban identity while undertaking its rapid urbanization. However, Suncheon Bay Garden has made a dramatic turning point in its urban history, helping […]
Read more "Evolving Ecoscape"Title : 독립기념관 겨례의 집 리모델링Program : CulturalLocation : Seoul, KoreaYear : 2015 우리는 하나로 이어져있다.지나온 과거의 기억과 아픔 그것을 이겨낸 현재그리고 미래가 우리 앞에 있다. 그 지나온 아픔과 극복을 숭고하게 기억하며그것을 밝은 미래로 잇는 하나의 장소가 여기에 있다.
Read more "겨례의 집"Title : National Collection & Conservation Center for ArtProgram : MuseumLocation : Cheongju-si, Chungcheongbuk-do, Korea 천년의 고도에 땅이 있었다. 근대화 산물인 산업건물은 청주시의 거대한 건축지형이 되었다. 오랜 시간 이 건축지형은 청주시의 자연과 함께 그 곳의 시민들의 잠재의식 속 기억으로 자리잡았다. 이 산업시대의 부산물은 산업화의 퇴색과 더불어 버려진 공터가 되었고, 이 거대 건축지형은 새로운 생명이 담길 […]
Read more "National Collection & Conservation Center for Art"Title : Korea National ArboretumProgram : Facility centerLocation : Gwangneung forest, Pocheon-si, Gyeonggi-do, Korea 숲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사람들은 이곳에 ‘호수’를 만들고 ‘길’을 내었다. 이 호수길 사이사이로 작은 집들이 들어서 숲과 호수에 어울려진 작은 마을이 만들어 졌다. 낮은 자세로 자리잡은 이 마을은 자연에 군림하는 건축이 아닌, 자연에 순응하며 온전히 자연 속에 녹아들어 대자연의 일부가 되어 […]
Read more "Korea National Arboretum"Program : Public DesignDesign Period : 2010. 06. 11 ~ 2010. 06. 29
Read more "Design competition of Public Facilities"Insert Wall to topographyContinuity of the TopographyHole like drop water
Read more "Club House"Title : TheSeoul performing Art CenterProgram : Cultural(design competition)Location : Noddeul Island, Ichon-dong, Yongsan-gu, Seoul, KoreaDesign Period : 2005 Emerge a huge sailing boat- You will associate it with slipper-animalcule. The shape of The Nodeul Island is similar to a slipper-animalcule. Indeed, the Nodeul island has not allowed any other form of architecture until now […]
Read more "Seoul performing Art Center"Title : The taeback theme parkProgram : Theme parkLocation : Gangwon-do, KoreaGross floor area : 6188.875 m²Total floor area : 20116.875 m²Site area: 105233.294 m²Design Period : 2005. 06. 01 ~ 2007. 01. 31Construction Period: 2007. 03. 01 ~ 2010 2005 The Winner of Taebaek Design Competition : Turnkey project with SPACE GROUP & GS […]
Read more "TAEBAEK THEME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