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 庭 景, 庭 近 京

Title : 2018 정부세종신청사 국제설계공모 1단계Program : Office, PublicLocation : Sejong, Korea 자연이 되는 건축 세종청사가 안고 싶어 하던 저 멀리 장남평야의 풍광을 가슴으로 끌어들이다. 원경에서 근경으로.. INTRO. 도시는 인간의 자연의 점유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수천 년에 걸쳐 인간은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자연을 잠식해 왔습니다. 현대 도시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는 도시가 자연과 어떠한 관계 맺기를 할 것인가 […]

Read more "近 庭 景, 庭 近 京"

김창열미술관

Title : 김창열 제주도립미술관 현상설계Program : Cultural, MuseumLocation : Jeju, Korea ‘대지의 천연조건을 최대한 활용해 자연에 흡수시키다’대지내 고저차가 있는 곳에 보이지 않는 벽을 이용한 주동배치로 거대볼륨인 미술관을 숲에 흡수시키다. ‘자연을 담는 거대 벽이 숲을, 하늘을, 땅을, 그리고 계절의 변화를 자신의 몸으로 그리다’정면성을 갖는 남측과 북측의 미술관 벽은 거울효과로 주변의 자연과 풍광을 담아 숲속에 그 거대한 […]

Read more "김창열미술관"

Embryonic Space

Title : Embryonic Space_ 6-4 생활권 복합커뮤니티단지 현상설계중 유치원 제안Program : Education, PublicLocation : Sejong, KoreaSite area : 4,806m²Total floor area : 2,666.53m² 배아(胚芽 Embryo)의 공간 : Embryonic Space 배아는 접합체가 발생을 시작하여 환전한 개체를 형성하기 전까지의 초기단계이다. 이처럼 유치원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교육의 배아의 시기이다. 여기서 착안, 건축콘셉은 ‘우주안에 소우주’, ‘공간안에 공간’의 개념으로 매치 […]

Read more "Embryonic Space"

Evolving Ecoscape

Title : Evolving Ecoscape_순천예술마당 Program : Cultural Location : Suncheon-si, Jeollanam-do, Korea Year : 2016 Cities evolve positively and negatively. Like many other cities in Korea, the city of Suncheon has lost its urban identity while undertaking its rapid urbanization. However, Suncheon Bay Garden has made a dramatic turning point in its urban history, helping […]

Read more "Evolving Ecoscape"

Korea National Arboretum

Title : Korea National ArboretumProgram : Facility centerLocation : Gwangneung forest, Pocheon-si, Gyeonggi-do, Korea 숲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사람들은 이곳에 ‘호수’를 만들고 ‘길’을 내었다. 이 호수길 사이사이로 작은 집들이 들어서 숲과 호수에 어울려진 작은 마을이 만들어 졌다. 낮은 자세로 자리잡은 이 마을은 자연에 군림하는 건축이 아닌, 자연에 순응하며 온전히 자연 속에 녹아들어 대자연의 일부가 되어 […]

Read more "Korea National Arboret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