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너머 저편」

20×14 cm. charcoal on paper, 2017. “우리는 아주 단순하면서도 어설픈 행복의 이미지들로부터 위로 받을 수 있다.때로는 그것이 진부한 한 예일지 몰라도 여전히 소소하게 감동으로 작동하곤 한다.” “붉은 노을빛은 그 어떤 곳도 아름답게 와닿게 하는 마술이다.노을이 지는 풍경앞에서 사람들의 마음은 움직인다.노을이 뿜어내는 붉은 공기는 세상을 따뜻하게 감싸주고, 하루가 저물고 맞는 ‘쉼’의 시작이다.”

Read more "「습지너머 저편」"

Embryonic Space

Title : Embryonic Space_ 6-4 생활권 복합커뮤니티단지 현상설계중 유치원 제안Program : Education, PublicLocation : Sejong, KoreaSite area : 4,806m²Total floor area : 2,666.53m² 배아(胚芽 Embryo)의 공간 : Embryonic Space 배아는 접합체가 발생을 시작하여 환전한 개체를 형성하기 전까지의 초기단계이다. 이처럼 유치원은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교육의 배아의 시기이다. 여기서 착안, 건축콘셉은 ‘우주안에 소우주’, ‘공간안에 공간’의 개념으로 매치 […]

Read more "Embryonic Space"

놀이탐색: 숨은 놀이 찾기展 제안, 소다미술관

#소리와 건축 #소리놀이 #소리방 #소리파빌리온 #소리천막 #소리집 _ #건축가 전성은 인터넷의 보급된 후에 태어난 아이들은 전화기가 유선인 경험이 없다. 태어나면서부터 스마트폰을 보고 자란 아이들, 획일화된 아파트에서 집의 개념보다 방으로만 집을 생각할 수 있는 요즘 아이들에게 소다미술관의 외부공간 구조물은 요즘 아이들이 생각할 수 있는 인지영역의 방과 건축의 벽을 그리고 외부의 자연 공기와 하늘, 땅을 느끼게 해줄 […]

Read more "놀이탐색: 숨은 놀이 찾기展 제안, 소다미술관"

기억의 미래_세종문화정원

Title : 기억의 미래 _ 세종문화정원 조치원 정수장Program : CulturalLocation : Sejong, KoreaSite area : 10,656m² Total floor area : 583.39m² Year : 2017 Synopsis 오늘 만난 옛기억은 그때의 그 기억이 아니다. 지금, 여기, 현재의 감각으로 각색된다.기억은 매번 새로이 써진다. 이 기억의 변형은 상상력의 힘이며 그것은 구체적 재현이 아닌 파편으로, 몽타주로, 알레고리로, 그렇게 무한히 구축된다. […]

Read more "기억의 미래_세종문화정원"

2017 UIA Seoul LH pavilion : Hommage of Korean city

“Change in the point of perception imprints its value on the viewers. Then, and not till then, the physical space finally interfaces with the human soul. ” by Eun Chun “인식점의 변화는 그것의 가치를 각인시킨다. 그때 비로서 물리적 공간이 인간의 영혼과 접점을 이루는 시간이다.” 건축가 전성은 – Coming soon 2017 September 3 2017 UIA Seoul […]

Read more "2017 UIA Seoul LH pavilion : Hommage of Korean city"